우분투 8.0.4의 램디스크 활성화
프로그래밍/Embedded System 2009. 3. 16. 15:56 |1. 리눅스 커널 다운로드
|
2. 크로스컴파일을 위한 쉘 스크립트(path.sh) 작성
#!/bin/bash export PATH=/home/test/cdt_2007-07-20/bin:$PATH export LD_LIBRARY_PATH=/home/test/cdt_2007-07-20/i686-pc-linux-gnu/arm-linux/lib:$LD_LIBRARY_PATH export ARCH=arm export CROSS_COMPILE=arm-linux- |
위의 쉘 스크립트 파일에는 LD_LIBRARY_PATH를 설정해주었으므로 apt-get 과 같은 시스템에 영향을 줄수 있는 명령어는 새로운 터미널을 생성해서 작업하도록 한다.
그리고 경로는 크로스 컴파일러가 설치된 자신의 경로에 맞춰서 설치하도록 한다. 혹시 mount시킨 공유 폴더에 생성을 하게 되었다면, 공유폴더와 관계없는 폴더에서 작업하도록 권장한다.
3. 램디스크(RamDisk) 다운로드
- 램디스크 다운로드 : ftp://210.123.39.25/
- 아이디·패스워드 : hansung / hansung
4. 램디스크 설치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한 뒤 from-kmu 라는 폴더로 이동한 뒤 build_fs.sh 라는 쉘 스크립트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는데 tffs module 방식은 현재 필요 없으므로 주석 처리 하는 것이다.
build_fs.sh 파일수정
|
위의 파일을 수정한 뒤 미리 작성되어 있는 쉘 스크립파일을 실행하도록 한다.
test@test-laptop:~/from-kmu$ sudo ./gunzip_mount.sh |
lrwxrwxrwx 1 root root 13 2008-01-07 10:47 root -> /mnt/mtd/root drwxr-xr-x 2 root root 1024 2007-12-05 14:22 sbin drwxr-xr-x 2 root root 1024 2006-07-04 10:22 sys drwxr-xr-x 2 root root 1024 2007-10-26 14:07 tmp lrwxrwxrwx 1 root root 12 2008-01-04 10:25 usr -> /mnt/mtd/usr |
gunzip_mount.sh 을 실행하게 되면 from-kmu 폴더에 fs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보드와 연결했을시 공유 폴더가 자동으로 래핑되게 된다. 그리고 바탕화면에 자동으로 링크된 아이콘이 생성되게 된다.